보조지표3 스토캐스틱 Stochastics과 RSI 계산 방법 저의 경우 기술적 지표 Stochastic 스토캐스틱은 RSI나 PSAR을 같이 참고합니다. 스토캐스틱은 과매수 및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다른 보조지표와 같이 참고해서 사용해야 매수. 매도 진입시점 파악하기가 더 좋은 것 같습니다. RSI는 상대강도지수(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어로, 매수세와 매도세의 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이고 PSAR(Parabolic Stop and Reverse)는 상승추세, 하락추세를 파악하는 지표입니다. 지금까지는 증권사 HTS에서 제공하는 지표를 사용해왔는데 그 값이 어떻게 계산되는지가 궁금해졌습니다. 증권사마다 기준으로 하는 값이 다른지 그 값들이 조금씩 다르게 나오지만 기본적인 계산 방식을 이해한다는 측면에서는 도움이 될 .. 2023. 5. 2. 주식차트 보조지표 - OBV, VR, AD 주식이나 선물거래를 하다 보면 가장 많이 느끼는 것이 거래량이 정말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보조지표가 후행성이지만 거래량은 주가의 선행지표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OBV(On Balance Volume) 보조지표는 거래량에 대한 지표로 주가는 일반적으로 매수세가 많으면 주가가 상승하고 매도세가 많으면 하락한다는 원리와 "거래량은 주가의 그림자" 라는 원리에 이론적인 배경을 두고 고안된 지표입니다. OBV(On Balance Volume) 1. OBV 수식 전일에 비해 주가가 상승한 날의 거래량을 OBV에 더하고 하락한 날의 거래량은 OBV에 빼는 방식으로 계산합니다 전일종가 당일종가 : 전일 OBV - 거래량 2. OBV 해석 주로 다이버전스를 활용.. 2023. 3. 1. 주식차트 보조지표 설정 - MACD, RSI, 이동평균선 활용 기본적 분석 이후 적절한 매수시점 또는 매도 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차트에 대한 기술적 분석이 필요합니다. 기술적 분석을 위하여 사용되는 보조지표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그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지표라고 생각되는 것은 MACD, RSI 그리고 이동평균선인 것 같습니다. 물론 이 3가지 이외에도 스토캐스틱, 볼랜저밴드, 파라볼릭, 이격도, DMI 등도 많이 언급되긴 합니다만 MACD, RSI, 이동평균선은 공식 차체가 복잡하지 않고 이해하기 쉽기 때문인지 많은 전문가 분들이 TV에 나와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인용하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이동평균선 가장 이해하기 쉬운 지표이기도 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표는 바로 이동평균선입니다. 이동평균선은 단순이동평균(SMA Simple Moving Average).. 2023. 2. 27. 이전 1 다음 728x90